이경연
내일은
포근하고
맑겠습니다. "주먹을 꼭 쥐고 태어나지만
갈 때는 두 손을 펴고 간다.
이 세상에 내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저 필요로 잠시 사용할 뿐.
내가 준 것은 잊고 작은
은혜도 갚는다."2020년 3월 11일, 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 팬데믹을 선언했다. 뉴스
는 전파를 타고 전 국민을 우울하게 만들었다. 시민들에게 배포할 면
마스크를 포장하던 이경연 씨는 지금이야말로 슬기로운 자원봉사가
필요한 때라고 생각했다. 그에게는 22년 동안 함께해온 동료들이 있
었다. 가족봉사단, 희망나눔터, 상담봉사단, 통합자원봉사지원단, 동
복지위원단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그들은 의기소침해 있었
다. 대면 봉사활동이 전면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눈빛만 보고도 손발
을 맞추던그리운 사람들! 그들과 수해, 태풍, 폭설, 지진, 산불, 태안
기름유출과 세월호 사고 등 각종 재난재해 현장에 함께 있었다. 지금
에 와서 위험하다고, 숨어있을 수만은 없었다. “넋 놓고 있을 순 없습니다.”
그의 전화로 자원봉사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방역 복장을 하고 소
독장비까지 들쳐메니 슈퍼 히어로다웠다. 양주 지역 228개 봉사단체
와 연합해 밤낮없이 뛰어다녔다. 코로나 장기화로 지쳐있을 사회취
약계층으로 다가갔다. 사랑의 나눔키트와 희망의 감동보따리를 제작
해 안부를 확인했다. 예방접종센터를 찾아 의료진을 위로하고 시민
들에게 편의를 제공했다.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코로나가 현재
진행중이라는 사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그가 자원봉사를 하는 이유
는 안전하고 행복한,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순수한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땀범벅이었으나 흐뭇했던 지난 일을 돌아본다. 2002년이었다. 자원봉사센터에서 재난 대비 봉사단이 발족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겨울에는 이웃과 눈을 치우고, 장마철을 대비해 빗물
받이 청소를 해오던 그다. 주민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생
각했다. 그러면서 예고 없이 일어나는 재난재해에 대처할 방법은 없
을까, 고민했다. 그러니 망설일 이유가 없었다. 재난 안전교육을 받
고, 이후 매년 전문교육을 받았다. 그의 역량은 통합자원봉사지원단
을 통해 훌륭히 발휘되었다.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자원봉사 수요를
파악하는 일, 피해지도를 만들어 봉사자를 배치하는 일, 여러 단체와
협력하는 일까지 체계적이고도 신속하게 움직였다. 그가 가는 곳에
는 언제나 사랑의 밥차가 따라다녔다. 그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면서 가족이야말로 봉사문화를 확산시키는
으뜸이며, 가장 든든한 조력자임을 느꼈다. 2005년 3월, 1기 아름
드리 가족봉사단 단장이 되었다. 그가 변함없이 해온 일은 다양하다.
노인과 장애인 시설을 방문해 수지침, 발맛사지, 레크리에이션, 건강
체조, 신나는 노래교실을 열어 몸과 마음의 건강을 살펴왔다. 효도잔
치를 열고, 명절음식을 나누고, 김장을 나눴다. 후원과 기부는 그의
일상이었다. 지역축제가 열리면 홍보부스를 운영해 시민의 가족 봉
사 참여를 끌어내었다. 새로운 가족들과 환경살리기와 안녕캠페인을
진행하며 봉사는 재미있고 의미 있는 일이라는 인식을 심어줬다. 그의
가족봉사단에 대한 애정은 특별하다. 매년 센터에서 운영하는 봉사
단 발대식에 참석해 가족봉사단의 자세와 노하우를 전수한다. 현재 14기까지 각각 독립된 풀뿌리 봉사단체가 되도록 구심점 역할을 해
왔다.
청소년에 관심이 많은 그는 청소년 상담봉사자이기도 하다.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에서 월 2회 실시한 성교육과 학교폭력예방 교육만 해
도 270여 회가 넘는다. 그는 위기 청소년들의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정성을 쏟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우수 고교생들에게 장학금을 지
급하는 등 참어른의 모습을 보여왔다. 2010년부터 법무부 교육위원
으로 활동하며 청소년 보호관찰소 미성년자들과 성인 재소자들이 건
강한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2018년부터는 환경운
동에도 참여한다. 나무 심기, 다회용기 사용, 자원순환, 마켓 운영을
통해 기후 위기 극복에 앞장서 왔다. 그는 실험적이고 창의적이다. 양주를 4권역으로 나눠 특화프로그램
을 운영하고 있다. 1권역에서는 홍복생태숲 살리기를, 2권역에서는
어르신 감성활동을, 3권역에서는 시민 생태공원을, 4권역에서는 옥
정 중앙공원에 자원봉사학교를 열어 청소년 자원봉사 학습장으로 운영한다. 그에게는 500여 평의 땅이 있다. 그는 이 땅을 기증했다. 직
접 감자와 고구마를 경작해서 지금까지 30회에 걸쳐 2,100박스를
소외계층에게 보냈다. 그에게 봉사와 나눔은 삶을 이끌어가는 철학
이었다. 그는 믿는다. 오늘 자신의 행동으로 내일은 포근하고 맑을
거라는 것을. 그가 매일 이른 아침 감자밭으로 나가는 이유다."세상은
자원봉사자분들이 있어
살 만합니다.
긍정으로 감사함으로
아자!아자!
홧팅입니다."